사랑과 이별 파탄,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과 "선녀와 나무꾼"을 비교
최근에 '선녀와 나무꾼'과 비슷하면서 대조적인 이야기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을 보았습니다. '선녀와 나무꾼'이 여성의 입장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였다면,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은 남성의 입장에서 전해지는 이야기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두 이야기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
1. 옛날에는 여자가 혼자 변소에 가면 호랑이가 물어간다는 속설이 있어 신랑이 함께 따라갔다.
2. 신랑과 함께 갔는데, 큰 호랑이가 신부를 훔쳐갔다.
3. 신랑은 새장가를 갔다.
4. 신부의 남동생이 10살이 되자 어머니와 함께 누나를 찾으러 길을 떠났다.
5. 신부가 눈을 뜨니 호랑이 등에 업혀 궁궐 같은 집으로 들어가고 있었다.
6. 호랑이가 휙 돌더니 남자로 변해 같이 살자고 제안한다.
7. 신부는 금방 시집을 갔으니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항변하니, 호랑이가 문을 잠그고 나가버렸다.
8. 신부는 할 수 없이 호랑이와 같이 산다.
9. 15살이 된 남동생은 누나를 찾아 나서다가 어느 궁궐 같은 집에 들어가게 된다.
10. 동생이 문을 두드리며 "누나 찾아왔다. 배 고파서 여기 들렸다."라고 말한다.
11. 동생임을 알게 된 신부가 동생을 집에 들이고, 벽장 속에 숨겨놓는다.
12. 동물들을 물고 온 호랑이가 신부에게 사람 냄새가 난다고 한다.
13. 신부는 자기 냄새라고 둘러대다가 동생이 왔다고 한다.
14. 호랑이는 처남을 찾다가 신부는 당신이 해칠까봐 벽장 속에 숨겼다고 했다.
15. 호랑이는 해치지 않을테니까 처남을 만나고 싶다고 한다.
16. 호랑이는 처남을 환대하며 돼지고기와 동물고기를 잘 차려 대접했다. 하지만 겁이 나서 먹질 못 했다.
17. 동생은 자형인 호랑이가 사냥을 나가자 누나를 보고 도망치자고 했다.
18. 누나는 하루가 지나고 가자고 하고, 하루가 지나자 아기를 낳았다. 아기는 반은 사람, 반은 호랑이였다.
19. 호랑이가 사냥을 나가자 신부와 동생은 아기똥을 마루 밑에 넣고, 아기를 데리고 도망을 쳤다.
20. 호랑이가 사냥을 갔다 돌아오자 신부가 없어져서 찾다가 남매를 쫒아간다.
21. 남매는 배를 타고 강을 건넜다. 호랑이는 뛰다가 강물에 빠져 죽었다.
22. 동생이 "이 애는 아버지 죽는 걸 봤으니 복수할 것이다. 그러니 죽이자"라고 했다. 남매는 아기를 물에 빠뜨리고 돌아왔다.
출처 : 임석재 『한국구전설화』(3)평민사, 1988, 282-284면
(평안북도 설화로 추측)
선녀와 나무꾼
1. 나무꾼이 포수에게 쫓기는 사슴을 구해준다.
2. 사슴은 보답으로 나무꾼에게 선녀를 만나는 방도를 일러주면서 아 이 셋을 낳기 전에는 날개옷을 주지 말라고 당부한다.
3. 나무꾼은 달밤에 연못가에 숨어 있다가 선녀의 날개옷을 감추어서 선녀와 같이 살게 된다.
4. 아이 둘을 낳고 나서 선녀가 조르자 나무꾼이 날개옷을 내어준다.
5. 선녀는 날개옷을 입고 아이들을 데리고 하늘나라로 가버린다.
6. 나무꾼은 사슴을 다시 만나고 하늘로 올라갈 방책을 묻는다.
7. 보름날, 나무꾼은 사슴이 가르쳐준 대로 두레박을 타고 하늘로 올 라간다.
8. 하늘나라에서 자식들과 아내를 만난다.
9. 하늘나라에서 살기 위한 어려운 시험들을 선녀의 도움으로 해결하고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산다.
10. 나무꾼은 집에 두고 온 어머니가 걱정이 되어 용마를 빌어 타고 땅으로 내려오고 선녀는 남편이 돌아오기 어려우리라 예측하고 금기를 건다.
11. 나무꾼은 땅에 내려와 어머니를 만나고 기를 어겨 하늘로 돌아가 지 못한다(하늘을 보고 울다가 수탉으로 변하기도 한다).
물론, 두 이야기는 다양한 공통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1. 부부 중 한쪽이 이종족이다.
2. 혼인을 위해 남자측에서 여자를 납치한다.
3. 부부처럼 살다가 아내쪽이 먼저 떠난다.
4. 남자쪽이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죽거나, 수탉이 되거나)
물론 대조되는 점들도 많다.
1.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에서는 남자가 이물, '선녀와 나무꾼'에서는 여자가 이물이다.
2. 전자는 아이가 죽었지만 후자는 죽지는 않았다.
파멸시키는자.
처남/노모
처남은 어린 남성이고, 노모는 늙은 여성입니다. 처남은 적극적으로 누나를 설득시켜서 탈출했지만 노모는 아들을 지상에 있도록 설득시킬 능력이 없습니다. 기껏해야 죽을 주는 소극적인 행위밖에 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둘의 결과가 상대방을 파멸시켰다는 것입니다.
처남은 처가 쪽 사람이고, 노모는 자신의 가족입니다.
혹시 이것은 남자가 '처가가 나의 가족을 파괴했다.' 라고 생각하고, 여자는 '시가가 나의 남편을 빼앗았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요?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과 비슷해 보이는 외국의 설화들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은 '프시케와 에로스'도 연상케 합니다. 구혼자가 많았던 프시케 공주, 갓 혼인한 신부
만약 프시케가 에로스를 성공적으로 죽였다면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 같은 결말이 나오지 않았을까요?
이종족 같은 남편을 형제의 도움으로 죽이고 자신이 살던 곳으로 돌아온다는 점은 샤를 페로의 '푸른 수염'을 연상케 합니다.
푸른 수염
혼인하기 싫었던 두 자매, 언니가 혼인
푸른 수염은 부자
아내의 형제들에게 죽는 푸른 수염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
예상하지도 않았고, 원하지도 않았던 호랑이와의 혼인
궁궐 같은 집에서 사는 호랑이 남자
아내와 처남을 찾으려다 익사하는 호랑이 남자
재밌는 점은 호랑이 남자는 나무꾼처럼 무능한 인물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나무꾼은 노모를 모셔야 하는 가난한 평민이었지만 호랑이 남자는 궁궐 같은 집에 사는 사람입니다. 호랑이에서 사람으로 변하는 모습은 마치 반인반수 요괴를 연상시킵니다. 여자는 오히려 더 좋은 남편을 얻고, 신분이 상승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인간 남자와 계속 혼인 상태를 유지했으면 그저 '인간의 아내'로만 남았을 것입니다. 거기다 인간 남자는 결론적으로 자신의 아내를 지키지도 못 하고 구하지도 못했습니다. 또한 전 아내는 나몰라라 하고, 새장가를 가는 무책임함까지 보여줬습니다. 반면 호랑이 남자는 방법이 불순하기는 했지만 어쨌든 자신의 아내에게 부를 안겨주고 사랑해 줬습니다. 물론 텍스트를 보건데 호랑이 남자가 아내의 거동의 자유를 막는 억압적인 태도를 취하고는 있지만 나무꾼의 아내로써 신분이 하락한 선녀보다는 궁궐 같은 집에서 잘 살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내는 그런 호랑이 남자의 남자의 곁을 떠납니다. 그리고 처남에게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 두 설화에는 남자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여자는 잘해주든 못해주든 날 떠난다.'라는 생각이 남성들의 기층에 깔린 생각 아닐까요?
여자 입장에서는 '네가 가난하고 날 억압하기에 떠난다.'
남자 입장에서는 '내가 얼마나 잘 해줬는데 떠나냐?'
호랑이 남자의 아내가 떠난 이유는 뭘까요?
'여성교환'이란 단어가 있습니다. 남성은 신분으로 교환되지만 여성은 '여성'이란 성별로 교환된다는 것입니다. 호랑이 남자의 아내가 떠난 건 교환되기 싫어서 떠난 건 아닐까요?
호랑이 남자는 호랑이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심이 합쳐져서 탄생한 존재일 것입니다. 여자는 남자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의 남편을 호랑이로 봤을테고, 남자 입장에서는 '내가 이렇게 강인한 존재다.'라는 걸 강조하기 위해 호랑이라고 지칭했을 것입니다.
호랑이 남자는 아내가 원하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내는 부유하게 살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궁궐같은 집에서 같이 살자고 했습니다. 하지만 배신당했습니다. 개인적인 사담이지만 '선녀와 나무꾼'보다 '호랑이 남자와 여자와 처남'이 더 슬프고 비극적이라 생각합니다. 나무꾼보다 훨씬 부유했지만 자신과 자식은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남동생의 권유로 갓 태어난 자식을 죽인 신부는 그 후 행복하게 살 수 있었을까요?